javascript-study-07

JavaScriptBanner


JavaScript Study 07

  • 용어

  • 함수

    • 함수란?

    • 함수정의 및 호출

    • 함수 사용 이유

    • 함수 리터럴

      • 함수 객체 vs 객체

      • 함수 리터럴의 구성요소

      • 함수 리터럴과 함수 선언문의 차이

    • 함수 만드는 4가지 방법

      • Function 생성자 함수
      • 화살표 함수
      • 함수 선언식
        • 함수 선언문 객체 생성의 Flow
      • 함수 표현식
    • 함수 호이스팅

    • 함수 호출

    • 매개 변수와 인수

    • 인수확인

    • 외부 상태의 변경과 함수형 프로그래밍

    • 반환문

      • return의 생략
    • 다양한 함수의 형태

      • 즉시 실행 함수 ( IIFE )

      • 재귀함수

      • 중첩함수 *

      • 콜백함수 **




용어 - ( 러버덕 )

  • 함수 파트 전부



함수

함수란?

함수는 일련의 과정을 문(statement)들로 구현하고 코드 블록으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것.

함수의 구성 요소 - poiemaweb

프로그래밍 언어의 함수는 입력을 받아서 출력을 내보낸다. 이때 입력을 전달받는 변수를 매개변수(parameter), 입력인수(argument), 출력반환값(return value)이라 한다.

또한 함수는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으므로 특정 함수를 구별하기 위해 식별자인 함수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파라미터(Parameter) = 매개변수 , 멤버변수, 인자

아구멘트(Argument) = 인수


함수의 정의 및 호출

​ 함수는 정의 를 통해 생성한다. ( 함수선언문의 경우, 호이스팅 되어 런타임 이전에 이미 정의가 완료된다. )

1
2
3
4
// 함수 정의 (함수 선언문)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 함수는 정의만 해서는 해당 코드가 실행되지는 않는다.

호출을 해야 비로서 실행되고 결과를 반환한다.

1
2
3
4
5
// 함수 호출
var result = add(2, 5);

// 함수 add에 인수 2, 5를 전달하면서 호출하면 7을 반환한다.
console.log(result); // 7

​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들은 함수가 호출되면 실행된다.

1
2
3
4
5
6
function add(x) {
var y = 20;
return x + y;
}

console.log( add(10) ); // 함수를 호출하면서 변수 y의 선언-초기화-할당이 진행된다.

argument(인수) 와 parameter(매개 변수)는 일치하는게 이상적인 함수 코딩이다.

1
2
3
4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add(2, 5); // 7

함수 호출문은 값으로 평가되는 표현식 이다.

1
2
3
4
5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var result = add(2, 5);
console.log(result) // 7

함수 사용 이유

함수는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이고 실수를 줄여 코드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함수 리터럴

함수 객체 VS 객체

  • 일반 객체는 호출할 수 없지만, 함수 객체는 호출할 수 있다.

함수 리터럴의 구성요소

​ : function 키워드, 함수 이름, 매개변수 목록, 함수 몸체로 구성

  1. 함수 이름
    • 네이밍 규칙을 준수한 식별자
    • 함수 몸체 내에서만 참조할 수 있는 식별자
    • 함수 이름은 생략 가능
      • 기명 함수(named function): 이름이 있는 함수
      • 익명 함수(anonymous function): 이름이 없는 함수
  2. 매개변수 목록
    • 0개 이상의 매개변수를 괄호로 감싸고 쉼표로 구분
    • 매개변수에 인수 할당
    • 매개변수는 함수 몸체 내에서 변수와 동일하게 취급되기 때문에 식별자 네이밍 규칙 준수
  3. 함수 몸체
    • 함수가 호출되었을 때 일괄적으로 실행될 문들을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코드 블록
    • 함수 호출에 의해 실행됨

함수 리터럴과 함수 선언문의 차이

선언문리터럴

그룹 연산자 ( )안에 들어오는 것은 피연산자이다.

피연산자로 들어오는 것은 리터럴 , 값이어야만 한다.

결국, ( function foo( ) { } )는 리터럴 및 값이 되는것이다.

함수 리터럴은 이름을 가질수도 있고, 안가질수도 있다.
함수 리터럴의 식별자는 자신의 몸체 내부에서만 유효 하다.

그룹 연산자 ( ) 내에 있는 것은 함수 선언문이 아니다.
다시 말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그룹 연산자 () 내에 있는 문을 함수 선언문이 아닌 함수 리터럴로 해석한다.
그룹 연산자의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할 수 있는 표현식이다.
따라서 표현식이 아닌 문인 함수 선언문은 피연산자로 사용할 수 없다.

1
2
3
var foo = function bar () { 

}; // foo에 값으로써 들어간 함수 -> 함수 표현식

함수 만드는 방법 4가지

Function 생성자 함수

생성자 함수란 ? 객체를 생성하는 함수

따라서 Function 생성자 함수 는 함수라는 객체를 생성하는 함수다.

  • 생성된 함수는 클로저를 생성하지 않음
  • 함수 선언문이나 함수 표현식으로 생성한 함수와 생성자 함수는 동일하게 동작X
1
2
3
4
// 첫번째 인수, 두번째 인수, 마지막 인수는 반환값
var add = new Function('x', 'y', 'return x + y');

console.log(add(2, 5)); // 7

화살표 함수

function 키워드 대신 화살표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함수 선언 (익명 함수). ES6에 도입.

화살표 함수는 대부분을고차함수 콜백 함수에 이용한다.

  • 기존의 함수와 this 바인딩 방식이 다름
  • prototype 프로퍼티 없음
  • arguments 객체를 생성하지 않음
1
2
3
4
// 화살표 함수
const add = (x, y) => x + y;

console.log(add(2, 5)); // 7

함수 선언문

함수 선언문은 함수 리터럴과 표기법과 형태가 동일하지만 함수 명을 생략할 수 없다.
함수 선언문은 표현식이 아닌 문이기에 변수에 할당이 불가능하다.
표현식이 아닌 문은 평가 시 undefined를 반환한다.

함수 선언문 방식으로 생성된 함수를 호출한 것은 함수 이름이 아니라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암묵적으로 생성한 변수 명인 것이다.
아래 예제를 예를들어보면 함수 명 add로 호출한 것이 아닌 함수선언문이 호이스팅 되면 생성된 암묵적 변수 add를 호출한 것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 함수 선언문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 함수 참조
// console.dir은 console.log와는 달리 함수 객체의 프로퍼티까지 출력한다.
// 단, Node.js 환경에서는 console.log와 같은 결과가 출력된다.
console.dir(add); // ƒ add(x, y)

// 함수 호출
console.log(add(2, 5)); // 7
함수선언문
함수 선언문 객체 생성의 Flow
  1. 함수 객체 생성

  2. 함수 이름으로 변수(식별자)를 암묵적으로 실행

  3. Binding


함수표현식

함수는 일급 객체이므로 함수 리터럴로 생성한 함수 객체를 변수에 할당 가능 (함수 이름 생략 가능)

= 함수 리터럴: 함수를 정의하는 표현식인 문

일급객체(first-class object): 값처럼 변수에 할당 가능, 프로퍼티 값이나 배열여 요소가 될 수 있다. 즉, 함수를 값처럼 사용 가능

1
2
3
4
5
6
// 함수 표현식
var add = function(x, y) {
return x + y;
};

console.log(add(2, 5));

함수 호이스팅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함수 참조
console.dir(add); // ƒ add(x, y)
console.dir(sub); // undefined

// 함수 호출
console.log(add(2, 5)); // 7
console.log(sub(2, 5)); // TypeError: sub is not a function

// 함수 선언문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 함수 표현식
var sub = function (x, y) {
return x - y;
};

  •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한 함수는 함수 선언문 이전에 호출 가능. ( 어디서든 호출 가능 )

    (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먼저 실행 (호이스팅 됨) )

  •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한 함수는 변수에 할당 이전에 호출 불가능 ( 변수가 호이스팅 )

    • 런타임 이전에 실행되는 것은 변수이며 변수는 undefined로 초기화
    • 변수 할당문의 값인 함수는 실행되는 시점인 런타임에 평가되어 변수에 할당된다.

함수 호출

함수를 참조하는 변수와 한 쌍의 소괄호인 함수 호출 연산자로 호출.

1
2
3
4
5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add(1, 2); // <- 함수 호출
  • 함수 호출 시 현재의 실행 흐름은 중단하고 호출된 함수로 컨트롤 넘김
  • 이 때, 매개 변수에 인수가 할당되고 함수 몸체의 문들이 실행되기 시작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

매개변수는 함수를 정의할 때 선언하고 함수 몸체 내부에서 변수와 동일하게 취급됨.
(즉, 함수가 호출되면 함수 몸체 내에서 암묵적으로 매개변수가 생성되고 변수와 마찬가지로 undefined로 초기화된 이후 인수로 할당됨)

인수는 함수를 호출할 때 매개변수에게 전달하는 값을 의미한다.

함수의 매개변수는 가능한 적은게 좋다. (최대 3개까지 맞추는게 좋음)
만약, 함수 매개변수가 4개이상이면 객체로 넘기는것이 좋다.

1
2
3
4
5
6
$.ajax({
method: 'POST',
url: '/user',
data: { id: 1, name: 'Lee' },
cache: false
});

위는 jQuery의 ajax 메소드이다. 해당 함수의 인수는 1개다. (객체)
그리고 객체의 프로퍼티는 총 4개다. ( 또한, 객체의 프로퍼티는 순서가 필요없고 이름에만 의미가 있다. )

또한 위 코드에서 함수 내부에 객체를 선언한 이유는 다른 식별자들이 참조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
해당 함수만 저 객체를 독점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 보안적이유 )
만약 다른 식별자들이 저 객체를 참조한다고 함수를 실행했을 때 변해버린 값이 반환될수도 있기 때문이다.


인수 미달 및 초과될 경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인수 미달, 매개변수가 더 많은 경우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console.log(add(2)); // NaN

// 인수 초과, 매개변수가 더 적은 경우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console.log(add(2, 5, 10)); // 7

인수 미달 : 할당받지 못한 매개변수는 선언만 된 것이므로 undefined상태가 된다. 따라서 위 예제는 2 + undefined = NaN이 출력.

인수 초과 : 초과된 인수는 무시됨 - 초과된 인수는 암묵적으로 arguments 객체의 프로퍼티에 보관된다.


인수 확인

코드상으로는 어떤 타입의 인수를 전달하여야 하는지, 어떤 타입의 값을 반환해야 하는지 명확하여야 한다.

자바스크립트는 타입이 값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매우 느슨하다. 이러한 느슨함을 막기 위해서는 방어코드를 작서해야한다.

1
2
3
4
5
6
7
// 조건1 : 매개변수로 숫자만을 받아야한다.
// 조건2 : 매개변수는 무조건 2개 다 받아야한다.
function add(x, y) {
return x + y;
}
console.log(add(2)); // NaN
console.log(add('a', 'b')); // 'ab'

​ 위 코드에서 원하지 않는 결과가 게속 나온다. 이유는 자바스크립트는 동적타이핑을 지원하는데 이에 대한 방어코드를 전혀 구성해놓은게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Typescript 를 사용하게 되면 값이 아닌 변수의 키워드를 이용해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조건식을 이용하여 방어코드를 직접 구축하는 방법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 if로 구현한 방어코드
function add(x, y) {
if (typeof x !== 'number' || typeof y !== 'number') {
throw new TypeError('매개변수에 숫자 타입이 아닌 값이 할당되었습니다.');
} //방어코드

return x + y;
}

console.log(add(2)); // TypeError: 매개변수에 숫자 타입이 아닌 값이 할당되었습니다.
console.log(add('a', 'b')); // TypeError: 매개변수에 숫자 타입이 아닌 값이 할당되었습니다.

외부 상태의 변경과 함수형 프로그래밍

함수의 매개변수에 값을 전달하는 방식을 값에 의한 호출(Call by value), 참조에 의한 호출(Call by reference)로 구별하는 부르는 경우도 있으나 동작 방식은 값에 의한 전달, 참조에 의한 전달과 동일하다. 아래 예제를 살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function changeVal(primitive, obj) {
primitive += 100;
obj.name = 'Kim';
}

// 외부 상태
var num = 100;
var person = { name: 'Lee' };

console.log(num); // 100
console.log(person); // {name: "Lee"}

// 원시값은 값 자체가 복사되어 전달되고 객체는 참조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changeVal(num, person);

// 원시 값은 원본이 훼손되지 않는다.
console.log(num); // 100

// 객체는 원본이 훼손된다.
console.log(person); // {name: "Kim"}
값에 의한 호출, 참조에 의한 호출

위와 같은 방식의 코딩은 객체의 추척을 어렵게 만든다. (즉, 값이 바뀌었는지 않바뀌었는지;;;)

이와 같은 함수를 비순수함수 라 칭한다.

순수 함수 : 함수 내부(지역 스코프)만 영향을 준다.
비순수 함수 : 함수 외부까지도 영향을 준다.
JS는 상태를 변환하는게 에러의 원인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비순수함수를 최대한 억제 및 줄이고 순수함수를 사용하도록 노력해야만 한다.

순수함수 vs 비순수함수


반환문

​ 함수는 return 키워드와 반환값으로 이루어진 반환문을 사용하여 실행 결과를 반환 할 수 있다.

함수는 실행시 return을 만나면 함수 실행을 중단하고 몸체를 빠져나간다.(즉, 중단한다.)

return의 생략

  1. return 키워드생략이 가능하다. 다만, 생략시 return undefined를 결과로 반환한다.
  2. return 값생략이 가능하다. 역시 생략시 return undefined를 결과로 반환한다.

다양한 함수의 형태

즉시 실행 함수 ( IIFE )

단 한번만 호출되며 다시는 호출 할 수 없다.

즉시 실행 함수는 익명 즉시 실행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클로저를 쓸 때 사용된다.

의외로 많이 사용된다.

1
2
3
4
5
6
// 익명 즉시 실행 함수
(function () {
var a = 3;
var b = 5;
return a * b;
}());

재귀함수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

재귀 함수는 무한 호출되며 stack overflow에러를 유발할 위험이 다분하다.

따라서 최대한 적게 이용하고 대부분은 재귀함수는 while, for( + if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팩토리얼(계승)은 1부터 자신까지의 모든 양의 정수의 곱이다.
// n! = 1 * 2 * ... * (n-1) * n
function factorial(n) {
// 탈출 조건: n이 1 이하일 때 재귀 호출을 멈춘다.
if (n <= 1) return 1;
return factorial(n - 1) * n;
}

console.log(factorial(0)); // 0! = 1
console.log(factorial(1)); // 1! = 1
console.log(factorial(2)); // 2! = 1 * 2 = 2
console.log(factorial(3)); // 3! = 1 * 2 * 3 = 6
console.log(factorial(4)); // 4! = 1 * 2 * 3 * 4 = 24
console.log(factorial(5)); // 5! = 1 * 2 * 3 * 4 * 5 = 120

중첩함수 *

함수 내부에 함수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중첩 함수(nested function) 또는 내부 함수(Inner function)라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function outer() { //1. outer의 네이밍 값을 변수 선언문에 변수로 저장하여 호이스팅됨 (함수가 다 저장됨)
var x = 1; //3. x = undefined값으로 초기화됨
//5. x에 1을 할당

function inner() { // 3-1. 호이스팅되서 런타임전에 메모리 값이 잡힘 7. inner 함수 들어감
var y = 2; //8. y값 undefined 할당 -> 9. 런타임 실행 -> 10. y에 2할당

console.log(x + y); //11. x+y값 평가 후 출력
//12 return문이 없으면 undefined가 할당되서 함수를 빠져나옴
} //4. undefined로 잡힘 -> 런타임실행

inner(); //6. inner 함수 실행

console.log(x + y); //13. 실행
//변수는 하위변수을 참조할 수 없어서 y값에 할당될 값이 없어서 1 + y 가 되지만 y값이 선언조차 안되서 referenceerror가뜸
// return undefined 생략되있음
}

outer();//2. 실행

콜백함수 ** 중요

콜백함수는 고차함수에 인수(Argument) 로써 사용되는 함수를 뜻한다.

고차함수는 매개변수를 함수로 받는 함수를 말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outer는 고차함수다. - 이유는 매개변수를 함수로 받고 있다.
function outer(fn) {
var x = 1;
var y = 2;
return fn(x, y);// 3
}

// 일반함수
function inner(x, y) {
var dd = x + y;
return dd;
}

console.log(
// outer라는 고차함수에 inner을 넣음으로 inner는 콜백함수가 되었다.
outer(inner)
);

기본적으로 콜백함수는 고차함수를 사용할 때 사용하며, 가능한 이 함수들은 루프를 도는 형식이기에 사용을 하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을 해야한다.

고차함수들로는 map,filter,reduce,find 등등이 있다.

map, filter의 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콜백 함수를 사용하는 고차 함수 map
var res = [1, 2, 3].map(function (item) {
return item * 2;
}); //내부에서는 for문이 돈다
//배열[1,2,3]객체가 가지고 있는 메서드(map)

console.log(res); // [ 2, 4, 6 ]

// 콜백 함수를 사용하는 고차 함수 filter
res = [1, 2, 3].filter(function (item) {
return item % 2;
});

console.log(res); // [ 1, 3 ]

Share